보도자료 |
보도시점 | 2023. 6. 21.(수) 12:00 | (2023. 6. 22.(목) 조간) |
한국산업인력공단, 2022년 국가기술자격 시험 현황을 담은 통계연보 발간 |
- 2022년 국가기술자격 시험에 209만여 명 응시, 73만 9천여 명 자격 취득 - 인구 구조, 사회환경 변화 등이 시험응시 등급 및 종목에 영향 |
한국산업인력공단(이하 ‘공단’)은 국민에게 국가기술자격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자 2022년 국가기술자격 시험 현황을 담은 ‘2023년 국가기술자격 통계연보(이하 ‘연보’)’를 21일 발간했다.
연보에는 2022년을 기준으로 공단과 대한상공회의소 등 10개 기관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 544개 종목의 통계가 수록되어 있다. [참고1]
2022년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응시자는 총 209만 4,718명으로, 전년 대비 15.9%(394,618명) 감소했다. 자격 취득자는 73만 8,935명으로 전년 대비 12%(100,827명) 감소했으나, 자격 취득률은 35.3%로 전년 대비 1.5%P 상승했다.
* 1975년부터 2022년까지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총 3,268만 3,875명(누적)
자격등급별 응시인원은 기능사가 41.5%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23.4%), 기사(21.7%), 산업기사(11.4%), 기술사(1.0%), 기능장(1.0%)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3.9%(912,594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대(16.5%), 10대(14%), 40대(12.9%), 50대 이상(12.7%) 순이었다. [참고2]
연보를 통해 나타난 특징들을 보면 ▲인구 구조 변화 ▲법령 개정 ▲사회환경 변화 등이 시험응시 변동에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출산율 저하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 등 인구 구조의 변화는 등급별 응시 비율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학졸업생과 재직자 등이 주로 응시하는 기사 시험응시 비율은 2018년 17.3%에서 2022년 21.7%로 증가했으나, 학생들이 많이 응시하는 기능사 시험응시 비율은 같은 기간 46%에서 41.5%로 감소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제고됨에 따라 관련 분야 시험응시 비율이 상승했다. 2022년 산업안전기사와 산업안전산업기사 자격시험의 응시인원은 각각 54,500명, 29,934명으로 해당 등급에서 1~2위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기계설비법’ 시행으로 전문 관리자를 선임하도록 정해짐에 따라 건축 분야 자격시험의 응시인원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건축설비기사 자격시험 응시인원은 2018년 1,827명에서 2022년 7,559명으로 연평균 42.6% 증가했으며, 건축설비산업기사도 2018년 807명에서 2022년 2,978명으로 연평균 38.6% 증가했다. [참고3,4]
사회환경 변화로 응시자가 급감하는 종목도 있다. 세탁기능사 자격시험 응시인원은 2018년 8,683명에서 2022년 534명으로 연평균 50% 감소했는데, 프랜차이즈 및 셀프 세탁업체의 증가로 인한 전문인력 필요성의 감소가 주요인으로 보인다.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자격시험 응시인원도 2018년 10,044명에서 2022년 1,114명으로 연평균 42.3% 감소했는데, 공무원 채용시험에서 정보화 관련 자격의 가산점이 폐지돼 응시인원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공단 김혜경 능력평가이사는 “사회환경 변화로 인해 국가기술자격 시험응시에도 변화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라며, “현장성 있는 국가기술자격 시험 운영으로 국민의 자격 효용성이 높아지도록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관련 자료는 큐넷(www.Q-net.or.kr→기술자격시험→자격검정통계→국가기술자격통계연보 메뉴) 및 국가통계포털(KOSIS.kr→“국가기술자격통계” 검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참고1 | 2022년 운영기관별 국가기술자격 시행 현황 |
연번 | 기관명 | 운영종목 수 | 필기시험 응시자 | 취득자 |
총 계 | 544종목 | 2,094,718명 | 738,935명 | |
1 | 한국산업인력공단 | 493종목 | 1,619,461명 | 598,227명 |
2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 18종목 | 18,675명 | 4,815명 |
3 | 대한상공회의소 | 15종목 | 443,653명 | 131,744명 |
4 | 한국광해광업공단 | 7종목 | 317명 | 90명 |
5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3종목 | 253명 | 51명 |
6 | 한국콘텐츠진흥원 | 3종목 | 424명 | 192명 |
7 | 영화진흥위원회 | 2종목 | 113명 | 54명 |
8 | 한국디자인진흥원 | 1종목 | 622명 | 228명 |
9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1종목 | 11,200명 | 3,534명 |
10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1종목 | 2022년 미시행 |
참고2 | 최근 5년간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시행 현황 |
[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응시 및 취득 현황(전체) ]
구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응시 | 취득 | 응시 | 취득 | 응시 | 취득 | 응시 | 취득 | 응시 | 취득 | |
전체 | 1,998,062 | 689,667 | 2,210,475 | 773,724 | 2,061,474 | 715,901 | 2,489,336 | 839,762 | 2,094,718 | 738,935 |
기술사 | 19,327 (1.0) |
1,919 (0.3) |
21,335 (1.0) |
2,227 (0.3) |
20,583 (1.0) |
1,913 (0.3) |
22,440 (0.9) |
1,731 (0.2) |
21,941 (1.0) |
1,508 (0.2) |
기능장 | 21,651 (1.1) |
4,862 (0.7) |
21,482 (1.0) |
4,365 (0.6) |
17,494 (0.8) |
5,578 (0.8) |
22,220 (0.9) |
6,193 (0.7) |
21,082 (1.0) |
5,746 (0.8) |
기사 | 345,864 (17.3) |
89,400 (13.0) |
393,029 (17.8) |
114,961 (14.9) |
368,159 (17.9) |
101,201 (14.1) |
465,535 (18.7) |
124,387 (14.8) |
455,122 (21.7) |
124,463 (16.8) |
산업기사 | 212,592 (10.6) |
52,614 (7.6) |
236,844 (10.7) |
59,258 (7.7) |
206,172 (10.0) |
56,416 (7.9) |
246,975 (9.9) |
64,818 (7.7) |
238,148 (11.4) |
60,734 (8.2) |
기능사 | 918,816 (46.0) |
401,057 (58.1) |
984,982 (44.6) |
417,655 (54.0) |
828,525 (40.2) |
369,931 (51.7) |
1,002,203 (40.3) |
438,395 (52.2) |
869,237 (41.5) |
398,916 (54.0) |
서비스 | 479,812 (24.0) |
139,815 (20.3) |
552,803 (25.0) |
175,258 (22.7) |
620,541 (30.1) |
180,862 (25.3) |
729,963 (29.3) |
204,238 (24.3) |
489,188 (23.4) |
147,568 (20.0) |
[ 연령대별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응시 현황 ]
구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5년 평균 증감율 |
전체 | 1,993,273 (100.0) |
2,204,230 (100.0) |
2,052,155 (100.0) |
2,475,561 (100.0) |
2,079,866 (100.0) |
↑1.1% |
19세 이하 | 375,503 (18.8) |
386,609 (17.5) |
288,133 (14.0) |
346,538 (14.0) |
291,417 (14.0) |
↓6.1% |
20∼29세 | 879,934 (44.1) |
986,796 (44.8) |
1,021,392 (49.8) |
1,200,786 (48.5) |
912,594 (43.9) |
↑0.9% |
30∼39세 | 329,999 (16.6) |
356,807 (16.2) |
306,222 (14.9) |
374,890 (15.1) |
342,430 (16.5) |
↑0.9% |
40∼49세 | 233,122 (11.7) |
267,397 (12.1) |
232,005 (11.3) |
286,298 (11.6) |
268,598 (12.9) |
↑3.6% |
50세 이상 | 174,715 (8.8) |
206,621 (9.4) |
204,403 (10.0) |
267,049 (10.8) |
264,827 (12.7) |
↑11.0% |
참고3 | 최근 5년간 안전 관련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 현황 |
순위 | 종목명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5년 평균 증가율 |
소계 | 67,553 | 82,970 | 80,330 | 100,734 | 131,448 | ↑18.1% | |
1 | 산업안전 기사 |
27,018 | 33,287 | 33,732 | 41,704 | 54,500 | ↑19.2% |
2 | 산업안전 산업기사 |
19,298 | 24,237 | 22,849 | 25,952 | 29,934 | ↑11.6% |
3 | 건설안전 기사 |
10,421 | 13,212 | 12,389 | 17,526 | 26,556 | ↑26.3% |
4 | 건설안전 산업기사 |
4,502 | 5,179 | 4,535 | 6,473 | 9,134 | ↑19.3% |
5 | 인간공학 기사 |
782 | 1,109 | 967 | 1,573 | 2,129 | ↑28.5% |
6 | 산업위생 관리기사 |
3,706 | 4,084 | 4,203 | 5,474 | 7,027 | ↑17.3% |
7 | 산업위생관리 산업기사 |
1,826 | 1,862 | 1,655 | 2,032 | 2,168 | ↑4.4% |
참고4 | 최근 5년간 응시인원 증가율이 높은 종목 Top 10 |
순위 | 종목명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5년 평균 증가율 |
1 | 건축설비 기사 |
1,827 | 2,023 | 2,155 | 4,478 | 7,559 | ↑42.6% |
2 | 건축설비 산업기사 |
807 | 892 | 793 | 1,953 | 2,978 | ↑38.6% |
3 | 에너지관리 산업기사 |
1,190 | 1,582 | 1,685 | 3,349 | 4,313 | ↑38.0% |
4 | 화재감식평가 산업기사 |
826 | 1,179 | 971 | 1,919 | 2,964 | ↑37.6% |
5 | 화재감식 평가기사 |
1,320 | 1,944 | 1,750 | 4,083 | 4,142 | ↑33.1% |
6 | 인간공학 기사 |
782 | 1,109 | 967 | 1,573 | 2,129 | ↑28.5% |
7 | 건설안전 기사 |
10,421 | 13,212 | 12,389 | 17,526 | 26,556 | ↑26.3% |
8 | 에너지 관리기사 |
2,947 | 3,534 | 3,409 | 5,497 | 7,187 | ↑25.0% |
9 | 설비보전 기사 |
2,122 | 2,530 | 2,068 | 3,357 | 5,003 | ↑23.9% |
10 | 공조냉동기계 산업기사 |
4,227 | 4,765 | 6,198 | 9,333 | 9,698 | ↑23.1% |
참고5 | 2022년 국가기술자격 등급별 필기시험 응시인원(상위 5개 종목) |
[ 2022년도 등급별 필기시험 응시자 Top5 ]
구분 | 필기시험 응시기준 Top5 종목 | ||
기술사 | ① | 건설안전 | 2,408명 |
② | 토목시공 | 2,370명 | |
③ | 건축시공 | 2,322명 | |
④ | 소방 | 2,310명 | |
⑤ | 건축전기설비 | 1,372명 | |
기능장 | ① | 위험물 | 5,275명 |
② | 전기 | 2,727명 | |
③ | 가스 | 1,829명 | |
④ | 에너지관리 | 1,589명 | |
⑤ | 배관 | 1,395명 | |
기사 | ① | 산업안전 | 54,500명 |
② | 전기 | 52,187명 | |
③ | 정보처리 | 48,470명 | |
④ | 건설안전 | 26,556명 | |
⑤ | 소방설비(전기분야) | 26,517명 | |
산업기사 | ① | 전기 | 31,121명 |
② | 산업안전 | 29,934명 | |
③ | 위험물 | 25,227명 | |
④ | 사무자동화 | 10,619명 | |
⑤ | 공조냉동기계 | 9,698명 | |
기능사 | ① | 지게차운전 | 94,822명 |
② | 한식조리 | 68,845명 | |
③ | 제과 | 55,531명 | |
④ | 제빵 | 53,382명 | |
⑤ | 전기 | 48,440명 | |
서비스 | ① | 컴퓨터활용능력1급 | 211,036명 |
② | 컴퓨터활용능력2급 | 178,568명 | |
③ | 워드프로세서 | 42,098명 | |
④ | 직업상담사2급 | 18,059명 | |
⑤ | 사회조사분석사2급 | 10,999명 |
https://webzine.hrdkorea.or.kr/section/press/view?id=11947
'자격증(국가,민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교원 학점은행제? 사이버대학? (7) | 2024.09.26 |
---|---|
NCS 스마트팩토리 (0) | 2024.07.16 |
ADsP(데이터분석준전문가) YOUTUBE 동영상강의 (0) | 2024.03.22 |
빅데이터 K-MOOC 강좌 (0) | 2024.03.14 |
빅데이터분석기사 (중소벤처기업연수원KOSME_전주) (0)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