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과목 : 안전관리론
1. 매슬로우(Maslow)의 인간의 욕구단계 중 5번째 단계에 속하는 것은?
1) 안전욕구
2) 존경의 욕구
3) 사회적 욕구
4) 자아실현의 욕구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설 : 하위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어야 상위단계의 욕구가 나타난다.
1) 생리적 욕구 : 숨쉬기, 식사, 수면 등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욕구
2) 안전의 욕구 : 안정된 환경, 보호, 질서 등 안전을 추구하는 욕구
3) 사회적 욕구 : 소속감, 사랑, 애정 등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얻는 욕구
4) 존경의 욕구 : 자존감, 타인의 안정, 사회적 지위 등 자기 자신과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는 욕구
5) 자아실현의 욕구 :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성장하고 싶어하는 가장 높은 수준의 욕구
2. A사업장의 현황이 다음과 같을 때 이 사업장의 강도율은?
- 근로자수 : 500명
- 연근로자시간 : 2400시간
- 신체장해등급
- 2급 : 3명
- 10급 : 5명
- 의사 진단에 의한 휴업일수 : 1500일
1) 0.22
2) 2.22
3) 22.28
4) 222.88
등급 | 사망1~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손실일수 | 7500 | 5500 | 4000 | 3000 | 2200 | 1500 | 1000 | 600 | 400 | 200 | 100 | 50 |
근로손실일수 : 2급*3명 = 7500*3=22500 10급*5명 = 600*5=3000
휴업일수 : 1500*300/365=1232.88
총 근로손실일수 = 22500+3000+1232.88=26732.88
총근로시간수 = 500명*2400시간=1200000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 / 총근로시간 수 = 26732.88 / 1200000 * 1000 = 22.28
3. 보호구 자율안전확인 고시상 자율안전확인 보호구에 표시하여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모델명
ㄴ. 제조번호
ㄷ. 사용기한
ㄹ. 자율안전확인 번호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ㄷ:사용기한
- 보호구의 수명 : 보호구의 수명은 사용 환경, 보관 상태, 재질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일괄적인 사용기한을 정하기 어렵습니다.
- 정기적인 점검 : 보호구는 사용 전후로 항상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교체해야 합니다.
4. 학습지도의 형태 중 참가자에게 일정한 역할을 주어 실제적으로 연기를 시켜봄으로서 자기의 역할을 보다 확실히 인식시키는 방법은?
1) 포럼(Forum)
2) 심포지엄(Symposium)
3) 롤 플레잉(Role playing)
4) 사례연구법(Case study method)
포럼(Forum): 특정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하는 형식으로, 역할 부여보다는 참여자 모두가 동등한 입장에서 의견을 개진합니다.
심포지엄(Symposium): 특정 주제에 대해 전문가들이 발표하고 토론하는 형식으로, 참가자들은 주로 청취자의 역할을 합니다.
사례연구법(Case study method): 실제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방법으로, 롤 플레잉처럼 직접적인 역할 연기는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5.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상 전로 또는 평로 등의 작업 시 사용하는 방열두건의 차광도 번호는?
1) #2 ~ #3
2) #3 ~ #5
3) #6 ~ #8
4) #9 ~ #11
차광도 번호 | 사용구분 | |
#2 ~ #3 | 고로강판가열로, 조과등의 작업 | ![]() |
#3 ~ #5 | 전로 또는 평로 등의 작업 | |
#6 ~ #8 | 전기로의 작업 |
용어 | 고로 | 조과(조소) | 전로 | 평로 | 전기로 |
개념 | 제철소의 중심 설비 | 고대 또는 중세 시대의 간단한 용광로 | 현대식 제강로 | 전통적인 제강로 | 전기를 이용한 제강로 |
주요기능 | 철광석, 코크스, 석회석 등을 고온에서 용융시켜 선철 생산 | 소규모로 철을 생산 | 고로에서 생산된 선철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강으로 만듦 | 고로에서 생산된 선철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강으로 만듦 | 스크랩 철을 녹여 특수강 생산, 합금 제조 |
연료/산소 | 코크스 | 목탄 | 순수 산소 | 공기 | 전기 |
생산 철 | 선철 (불순물이 많은 철) | 선철 | 고품질 강 | 일반 강 | 특수강, 합금 |
장점 | 대량 생산 가능, 비교적 저렴한 생산 비용 | 소규모 생산에 적합 | 고품질 강 생산 가능, 생산 시간이 짧음, 에너지 효율이 높음 | 다양한 종류의 강 생산 가능 | 고순도 강 생산 가능, 다양한 합금 제조 가능 |
단점 | 생산 시간이 길고, 환경 오염 가능성 높음 | 생산량이 적고, 불순물이 많음 | 초기 설비 투자 비용이 높음 | 생산 비용이 비교적 높음, 에너지 소비량이 많음 | 생산 비용이 높음, 소규모 생산에 적합 |
6. 산업재해의 분석 및 평가를 위하여 재해발행 건수 등의 추이에 대해 한계선을 설정하여 목표 관리를 수행하는 재해통계 분석기법은?
1) 관리도
2) 안전 T점수
3) 파래토도
4) 특성 요인도
1) 관리도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된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공정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이상 상태를 조기에 발견하여 개선하는 데 사용하는 통계적 도구입니다.
한계선 설정: 관리도는 상한선과 하한선을 설정하여 정상적인 상태와 비정상적인 상태를 구분합니다. 이를 통해 재해 발생 건수의 변동을 관찰하고, 특정 시점에서 이상 징후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목표 관리: 관리도를 통해 재해 발생 건수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목표로 설정한 한계선을 넘어서는 경우 원인 분석을 통해 개선 조치를 취함으로써 재해 예방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2) 안전T점수 : 안전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히기 위한 치수로, 다양한 안전 관련 요소를 고려하여 산출합니다. 관리도처럼 한계선을 설정하여 목표 관리를 수행하는 기법은 아닙니다.
3) 파래토도 : 발생빈도가 높은 문제부터 순서대로 나열하여 중요한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 재해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우선순위를 설정하는데 유용하지만, 시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4) 특성 요인도 :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과의 관계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도구이다. 재해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사용되지만, 관리도처럼 시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고 목표 관리를 수행하는 기법은 아니다.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 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단, 그 밖에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ㄱ.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ㄴ. 재해사례 연구.토의결과에 관한 사항
ㄷ. 사고 조사 및 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
ㄹ. 작업장의 안전 및 보건 관리에 관한 사항
ㅁ.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관리조직과 그 직무에 관한 사항
1) ㄱ, ㄴ, ㄷ, ㄹ
2) ㄱ, ㄴ, ㄹ, ㅁ
3) ㄱ, ㄷ, ㄹ, ㅁ
4) ㄴ, ㄷ, ㄹ, ㅁ
8. 억측판단이 발생하는 배경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정보가 불확실 할 때
2) 타인의 의견에 동조할 때
3) 희망적인 관측이 있을 때
4) 과거에 성공한 경험이 있을 때
억측판단 : 충분한 정보없이 주관적인 판단이나 추축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불확실한 상황에서 개인의 경험, 감정, 편견 등에 의해 판단이 왜곡되는 현상이라 볼 수 있다.
9. 하안리히의 사고예방원리 5단계 중 교육 및 훈련의 개선, 인사조정, 안전관리 규정 및 수식의 개선 등을 행하는 단계는?
1) 사실의 발견
2) 분석 평가
3) 시정방법의 선정
4) 시정책의 적용
1. 안전관리 조직 | 2. 사실의 발견 | 3. 분석 평가 | 4. 시정방법의 선정 | 5. 시정책의 적용 |
안전관리 조직 구성, 안전목표 설정 안전활동 방침수립 |
사고발생시 사실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기록 | 사고원인을 분석, 그 원인이 발생하는 이유를 평가 |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사고를 예방히기 위한 최적의 시정방법을 선정 | 선정된 시정방안을 실제로 적용 교육 및 훈련의 개선, 인사조정, 안전관리 규정 및 수식의 개선 |
10. 재해예방의 4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해발생은 반드시 원인이 있다.
2) 손실과 사고와의 관계는 필연적이다.
3) 재해는 원인을 제거하면 예방이 가능하다.
4)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은 반드시 존재한다.
하인리히의 재해예방 기본원칙 4가지
1) 예방가능의 원칙 : 천재지변을 제외한 모든 인재는 예방이 가능하다.
2) 손실우연의 원칙 : 사고의 결과로 인한 손실의 유무 또는 대소는 사고 당싱의 조건에 따라 우연적으로 발생한다.
3) 원인연계의 원칙 : 사고에 반드시 원인이 있으며, 원인은 대부분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4) 대책선정의 원칙 : 사고의 원인이나 불안적 요소가 발견되면 반드시 대책을 선정해야 한다.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 및 명령을 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닌 것은?
1)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을 초과한 사업장
2)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인 사업장
3)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4) 상시 근로자 1천명 이상인 사업장에서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안전보건진단 대상:
산업재해율이 높은 사업장: 같은 업종의 평균 재해율보다 현저히 높은 사업장은 안전관리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진단 대상이 됩니다.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사업주가 안전조치를 소홀히 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경우,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해 진단이 필요합니다.
직업병 발생 사업장: 특정 직업병 발생률이 높은 사업장은 작업환경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진단 대상이 됩니다.
12. 버드(Bird)의 재해분포에 따르면 20건의 경상(물적, 인적상해)사고가 발생했을 때 무상해 무사고(위험순간) 고장 발생 건수는?
1) 200
2) 600
3) 1200
4) 12000
버드의 재해구성비율 | 1: 10 : 30 : 600 = 중상 또는 페질 : 경상 : 무상해 사고 : 무상해, 무사고 총 641건 분석 |
하인리히의 재해구성 비율 | 1 : 29 : 300 = 사망 또는 중상 : 경상 : 무상해 사고 총 330건 분석 |
1: 10 : 30 : 600 x 2 = 2: 20 : 60 : 1200
20/10*600=1200 ???
버드(Bird)의 재해분포 법칙에 따르면, 재해의 구성비율은 1:10:30:600으로 나타납니다. 이 비율은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1 - 중상 또는 폐질
10 - 경상(인적, 물적 상해)
30 - 무상해사고(물적 손실 발생)
600 - 무상해, 무사고 고장(위험 순간)문제에서 20건의 경상사고가 발생했다고 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비율을 계산하면:20 : X = 10 : 600X = (20 * 600) / 10 = 1200따라서, 20건의 경상사고가 발생했을 때 무상해 무사고(위험순간) 고장 발생 건수는 1200건입니다.정답은 3) 1200입니다.
(PERPLEXITY가 정답을 알려준다. 제미나이, CHATGPT는 오답을알려준다.)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거푸집 동바리의 조립 또는 해체작업시 특별교육 내용이 아닌 것은?(단, 그 밖에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
1) 비계의 조립순서 및 방법에 관한 사항
2) 조립 해체 시의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3) 동바리의 조립방법 및 작업 절차에 관한 사항
4) 조립재료의 취급방법 및 설치기준에 관한 사항
거푸집 동바리의 조립 또는 해체작업시 특별교육
1. 동바리의 조립방법 및 작업절차에 관한 사항
2. 조립재료의 취급방법 및 설치기준에 관한 사항
3. 조립 해체 시의 사교 예방에 관한 사항
4. 보호구 착용 및 점검에 관한 사항
5. 그 밖에 안전. 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 |
https://youtu.be/NUcSOPpsg8U?si=CEb3EUU-bn9cyb7t![]() |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다음의 안전보건표지 중 기본모형이 다른 것은?
1) 위험장소 경고
2) 레이저 광선 경고
3) 방사성 물질 경고
4) 부식성 물질 경고
![]() |
![]() |
![]() |
![]() |
![]() |
![]() |
![]() |
![]() |
![]() |
![]() |
15. 학습정도(Level of learning)의 4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인지→이해→지각→적용
2) 인지→지각→이해→적용
3) 지각→이해→인지→적용
4) 지각→인지→이해→적용
인지(Recognition) | 지각(Perception) | 이해(Understanding) | 적용(Application) |
학습내용을 접하는 단계 새로운개념, 용어, 사실 인식 |
정보를 더 깊이 이해, 구분 특징을을 파악하고 개념을 구체화 |
학습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고 설명 |
학습한 내용을새로운 상황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 |
16. 기업 내 정형교육 중 TW(Training Within Industry)의 교육내용이 아닌 것은?
1) Job Method Training
2) Job Relation Training
3) Job Instruction Training
4) Job Standardization Training
TWI의 4가지 주요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Job Methods Training (JMT): 작업 방법 훈련으로, 작업 방법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피로를 줄이는 방법을 배우는 훈련입니다.
Job Relations Training (JRT): 인간관계 훈련으로, 상사와 부하 직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배우는 훈련입니다.
Job Instruction Training (JIT): 작업 지도 훈련으로, 숙련된 작업자가 초보 작업자에게 작업 방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배우는 훈련입니다.
Job Safety Training (JST): 작업 안전 훈련으로,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고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훈련입니다.
17. 레빈(Lewin)의 법칙 B=f(P*E) 중 B가 의미하는 것은?
1) 행동
2) 경험
3) 환경
4) 인간관계
레빈(Lewin)의 법칙은 개인의 행동을 설명하는 심리학적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B=f(P*E)**라는 수식으로 표현되는데, 각 문자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B: Behavior (행동)
f: function of (함수, ~의 함수)
P: Person (사람, 개인)
E: Environment (환경)
즉, **B=f(P*E)**는 "행동(B)은 사람(P)과 환경(E)의 상호작용의 함수이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18. 재해원인을 직접원인과 간접원인으로 분류할 때 직접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1) 물적 원인
2) 교육적 원인
3) 정신적 원인
4) 관리적 원인
직접원인: 사고 발생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불안전한 행동이나 불안전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사고가 발생하는 순간에 존재했던 구체적인 원인을 말합니다.
간접원인: 직접원인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조직의 시스템, 관리 체계, 개인의 특성 등과 관련된 요인을 의미합니다.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의 업무가 아닌 것은?
1) 업무 수행 내용의 기록
2)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관리.분석을 위한 보좌 및 지도.조언
3)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지도.조언
4) 작업장 내에서 사용되는 전체 환기장치 및 국소 배기장치 등에 관한 설비의 점검
20. 헤드쉽(headship)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휘형태는 권위주의적이다.
2) 상사의 권한 증거는 비공식적이다.
3) 상사와 부하의 관계는 지배적이다.
4) 상사와 부하의 사회적 간격은 넓다.
헤드십(headship) : 조직 내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며 구성원들을 이끄는 역할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헤드십은 권위적이고 위계적인 조직 문화에서 강조되는 개념이며, 상사의 권한이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상사의 권한 증거는 비공식적이다: 상사의 권한은 조직의 공식적인 규정과 절차에 의해 부여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상사의 권한 증거가 비공식적이라는 것은 헤드십의 특징과 맞지 않습니다.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공학
21. 위험분석 기법 중 시스템 수명주기 관점에서 적용 시점이 가장 빠른 것은>
1) PHA
2) FHA
3) OHA
4) SHA
PHA (Preliminary Hazard Analysis): 예비 위험 분석으로, 시스템 개발 초기 단계에서 간단하고 빠르게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기법입니다. 설계 단계에서 위험 요소를 미리 파악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설계 변경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FHA (Failure Hazard Analysis): 고장 위험 분석으로, 시스템의 구성 요소별 고장 모드와 그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여 위험을 평가하는 기법입니다. PHA보다 더 상세한 분석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시스템 설계가 어느 정도 완료된 후에 수행됩니다.
OHA (Operational Hazard Analysis): 운전 위험 분석으로, 시스템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시스템이 실제로 운전되는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안전 운전 절차를 수립하는 데 활용됩니다.
SHA (System Hazard Analysis): 시스템 위험 분석으로, 시스템 전체에 대한 위험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PHA, FHA, OHA 등의 결과를 종합하여 시스템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위험 감소 대책을 수립하는 데 사용됩니다.
22. 상황해석을 잘못하거나 목표를 잘못 설정하여 발생하는 인간의 오류 유형은?
1) 실수(Slip)
2) 착오(Mistake)
3) 위반(Violation)
4) 건망증(Lapse)
1) 실수(Slip): 숙련된 행동을 하던 중, 자동화된 과정에서 발생하는 작은 실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커피를 타다가 설탕 대신 소금을 넣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실수는 주의력 부족이나 긴장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착오와 달리 의도는 정확하지만 실행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2) 착오(Mistake): 상황에 대한 잘못된 판단이나 목표 설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어, 회의 시간을 오후 2시로 잘못 알고 1시에 회의실에 간 경우나, 문제를 잘못 해석하여 잘못된 해결책을 찾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3) 위반(Violation): 규칙이나 절차를 의도적으로 무시하거나 위반하여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어, 안전 수칙을 무시하고 위험한 작업을 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위반은 개인의 태도나 의식적인 선택에 의해 발생하며, 실수나 착오와는 구별됩니다.
4) 건망증(Lapse): 기억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어, 약속을 잊어버리거나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건망증은 주로 나이가 들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발생하며, 착오와는 다르게 특정 정보를 떠올리지 못하는 문제입니다.
23. A작업의 평균에너지소비량이 다음과 같을 때, 60분간의 총 작업시간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시간(분)은?
- 휴식중 에너지소비량 : 1.5 kcal/min
- A작업 시 평균 에너지소비량 : 6 kcal/min
- 기초대사를 포함한 작업에 대한 평균 에너지 소비량 상한 : 5 kcal/min
1) 10.3
2) 11.3
3) 12.3
4) 13.3
1.5*근무 + 6*휴식 = 5*60
근무+휴식=60
x=13.3(분)
24. 시스템의 수명곡선(욕조곡선)에 있어서 디버깅(Debugg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초기 고장의 결함을 찾아 고장률을 안정시키는 과정이다.
2) 우발 고장의 결함을 찾아 고장률을 안정시키는 과정이다.
3) 마모 고장의 결함을 찾아 고장률을 안정시키는 과정이다.
4) 기계 결함을 발견하기 위해 동작시험을 하는 기간이다.
욕조곡선이란?
욕조곡선은 제품이나 시스템의 수명 주기에 따른 고장률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욕조의 형태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일반적으로 욕조곡선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초기 고장 기간 (DFR, Debugging Period): 제품이 처음 사용될 때 발생하는 고장률이 높은 시기입니다. 설계 결함, 제조 불량, 조립 오류 등이 주요 원인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장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우발 고장 기간 (CFR): 고장률이 비교적 안정적인 시기입니다. 외부 환경이나 사용자의 오작동 등 예측하기 어려운 요인에 의한 고장이 주로 발생합니다.
마모 고장 기간 (IFR): 제품의 수명이 다해 가면서 마모나 부식 등으로 인해 고장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입니다
25.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갈 때 망막에 시홍이 형성되는 생리적 과정인 암조응이 발생하는데 완전 암조응(Dark adapation)이 발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 약 3 ~ 5분
2) 약 10 ~ 15분
3) 약 30 ~ 40분
4) 약 60 ~ 90분
26. 인간공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간-기계 시스템의 안전성, 편리성, 효율성을 높인다.
2) 인간을 작업과 기계에 맞추는 설계 철학이 바탕이 된다.
3) 인간이 사용하는 물건, 설비, 환경의 설계에 적용된다.
4) 인간의 생리적, 심리적인 면에서의 특성이나 한계점을 고려한다.
27. HAZOP 기법에서 사용하는 가이드워드와 그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Part of : 성질상의 감소
2) As well as : 성질상의 증가
3) Other than : 기타 환경적인 요인
4) More/Less : 정량적인 증가 또는 감소
HAZOP(Hazard and Operability Study) 기법에서 사용되는 가이드워드는 시스템의 위험 요소를 체계적으로 찾아내기 위해 사용되는 단어들입니다. 각 가이드워드는 특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다양한 파라미터(유량, 압력, 온도 등)에 대한 변화를 가정하고 위험 요소를 도출합니다.
1) As well as : 부가,성질상의 증가 / 설계의도 외에 다른 공정변수가 부가되는 상태
2) Part of : 부분, 성질상의 감소 / 설계의도대로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 질적 감소
3) Other than : 기타, 설계의도가 완전히 바뀜. / 밸브의 잘못 조작으로 다른 원료가 공급되는 상태
4) Reverse : 반대, 설계의도와 정반대 /
5) No, Not, or None : 없음, 설계의도에 완전히 반하여 공정변수의 양이 없는 상태
6) More : 증가, 공정변수가 양적으로 증가
7) Less : 감소, 공정변수가 양적으로 감소
28. 그림과 같은 FT도에 대한 최소 컷셋(Minimal cut sets)으로 옳은 것은?(단, Fussell의 알고리즘을 따른다.)
1) {1, 2}
2) {1, 3}
3) {2, 3}
4) {1, 2, 3}
FT도 (Fault Tree Diagram) : 시스템이나 프로세스의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을 논리적으로 표현한 도형입니다. 마치 나무의 가지처럼 위에서 아래로 뻗어나가며, 최상위 사건(Top event)부터 하위 사건(Basic event)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T: 최상위 사건 (Top event)으로, 시스템 고장을 의미합니다.
A, B: 중간 사건으로, 각각 T가 발생하기 위한 하위 조건입니다.
1, 2, 3: 기본 사건으로, 시스템 구성 요소의 고장을 의미합니다.
게이트 연결: 각 사건 간의 논리적인 관계를 게이트로 연결
Fussell 알고리즘 : FT도에서 최소 컷셋을 효율적으로 찾는 알고리즘입니다.
각 게이트에 대한 절단 집합 구하기:
A : OR 게이트: 각 입력 사건이 각각 절단 집합입니다.
B : AND 게이트: 입력 사건들의 합집합이 절단 집합입니다.
29. 경계 및 경보신호의 설계지침으로 틀린 것은?
1)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변조된 신호를 사용한다.
2) 배경소음의 진동수와 다른 진동수의 신호를 사용한다.
3) 귀는 중음역에 민감하므로 500~3000Hz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4) 300m 이상의 중거리용으로는 1000Hz를 초과하는 진동수를 사용한다.
30.
202408~09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