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31
5과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전지영 교수)
4주차 1교시(한국어 문법론의 개념과 구분)
형태론과 통사론에 대해 150자 정도로 정리해줘
형태론은 단어의 내부 구조와 형성 과정을 연구하는 분야로, 형태소, 어근, 접사 등을 다루며 단어 형성 규칙을 탐구합니다. 통사론은 문장의 구조와 구성 요소들의 배열 및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로, 문장 성분, 구문 구조, 문법 규칙 등을 분석합니다.
형태론이 단어 수준에 초점을 맞춘다면, 통사론은 문장 수준의 언어 구조를 다룹니다.
4주차 2교시(한국어 형태론_1)
형태소?
형태소는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언어 단위입니다. 더 이상 쪼개면 의미가 사라지는 최소 단위로,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로 구분됩니다. 단어 형성과 문법 기능을 담당하며, 언어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주차 3교시(한국어 형태론_2)
단어?
한국어에서 '단어'는 자립성과 분리성을 지닌 최소의 의미 단위입니다. 단일어, 파생어, 합성어로 구분되며, 품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문장 내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어순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요소의 삽입 없이 휴지를 둘 수 있는 특징을 가집니다.
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표현교육론(공유정 교수)
4주차 1교시(말하기와 입말의 특성에 대한 이해)
4주차 2교시(말하기 교육의 목표 및 수업 설계)
말하기 수업을 설게할 때 어떤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말하기 수업에 도움이 될지 100자 이내로 정리해줘.
말하기 수업 설계 시 목표는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정확성(발음, 문법), 유창성, 적절성(상황에 맞는 표현 사용), 그리고 전략적 능력(대화 유지, 의미 협상)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면 효과적인 말하기 수업이 될 수 있습니다.
4주차 3교시(말하기 굥ㄱ에서 교사의 역할 및 오류수정)
말하기 수업에서 교사는 어떤 역할
말하기 수업에서 교사는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며, 다양한 활동을 설계하여 참여를 유도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또한, 모델링을 통해 올바른 표현과 발음을 보여주고,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이는 지원자로서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이해교육론(김정 교수)
4주차 1교시(듣기 활동의 단계와 실제(1))
듣기 활동의 단계는 다음과 같이 3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듣기 전 단계: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듣기 목적을 설정하며, 주요 어휘나 표현을 미리 학습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주제에 대한 예측 활동이나 관련 이미지 제시 등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합니다.
2. 듣기 중 단계: 실제 듣기 활동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전체적인 내용 파악을 위한 전반적 듣기(extensive listening)와 세부 정보 파악을 위한 집중적 듣기(intensive listening)가 포함됩니다. 이 때 학습자는 주요 내용을 메모하거나 특정 정보를 찾는 등의 과제를 수행합니다.
3. 듣기 후 단계: 들은 내용을 확인하고 이해한 바를 정리하는 단계로, 내용에 대한 요약, 토론, 관련 주제로의 확장 등의 활동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듣기 전략에 대한 평가와 반성, 그리고 학습한 내용을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 적용하는 활동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4주차 2교시(듣기 활동의 실제(2))
시각항목 찾기 활동 : 듣기 자료에서 특정 정보나 표현을 찾아 표시하는 과제입니다. 이는 학습자의 집중력을 높이고 청취 능력을 향상시키며, 듣기 내용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초급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활동입니다.
4주차 3교시(듣기횔동의 실제(3))
peterson(1991)의 듣기활동 시각항목 찾기 활동은 듣기 자료에서 특정 정보나 표현을 찾아 표시하는 과제입니다. 이는 학습자의 집중력을 높이고 청취 능력을 향상시키며, 듣기 내용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초급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활동입니다.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김국화 교수)
4주차 2교시(한국어의 관형사, 부사, 감탄사)
- 관형사는 체언을 수식하는 품사로, 성상관형사(새, 헌 등), 지시관형사(이, 그, 저 등), 수관형사(한, 두, 세 등)로 나뉘며, 형태 변화가 없고 단독으로 문장 성분이 될 수 없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부사는 용언이나 다른 말을 수식하는 품사로, 성분부사(성상부사, 지시부사, 부정부사, 정도부사 등)와 문장부사(양태부사, 접속부사 등)로 구분되며, 문장에서 자유롭게 위치를 바꿀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 감탄사는 화자의 감정이나 의지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품사로, 감정적 감탄사(아, 어머나 등), 의지적 감탄사(자, 어서 등), 응답 감탄사(네, 아니오 등)로 나뉘며, 단독으로 문장을 이룰 수 있고 다른 문장 성분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4주차 3교시(한국어문장 1)
1. 한국어 문장성분은 주성분(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부속성분(관형어, 부사어), 독립성분(독립어)으로 나뉘며, 이 중 주어와 서술어는 문장의 필수 요소입니다.
2. 문장의 종류는 서술어의 유형에 따라 '무엇이 어떠하다'(형용사), '무엇이 어찌하다'(동사), '무엇이 무엇이다'(체언+이다)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유형에 따라 필요한 문장성분이 달라집니다.
3. 한국어 문장의 특징으로는 서술어가 문장 끝에 오는 것이 일반적이며, 주어나 목적어가 문맥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조사를 통해 문장성분의 기능이 표시된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