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요
죽음이란
한 조각 구름이 스러짐이다
뜬 구름은
본래 실체가 없는 것
죽고 살고 오고 감이
모두 그와 같도다
YONGMUNSA TEMPLE
Yongmunsa is said by some to have been founded by Monk taegyong in 913 and by some to have been personally founded by king Kyongsun-wang(r.927~935), the last king of Shilla(57B.C ~ A.D.935).
In 1378, Monk Chichon of Koryo (918~1392) brought the wood blocks for printing Buddhist scriptures from Kyongchonsa Temple in kaepung and enshrined them here. The temple was reconstructed in 1395 by Monk Choan. In 1447, Prince Suyang rebuilt the main hall in honor of his mother, Queen Sohon, the wife of King Sejong(r. 1418~50). He had it extensively repaired in 1457 after he usurped the throne from his nephew Tanjung(r. 1452~55) to become King Sejo(r. 1455~68)
The temple was renovated in 1480 by Monk Choan and reconstructed by Monk Pongsong in 1893.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Monk Chwiun reconstructed the lecture hall in 1909 and, in 1938, Monk Taeuk reconstructed taeungjon, Oshilgak, Nojon, the memorial hall and the dormitory. The present facilities, including Taeungjon, Samsonggak, Chiljangjon, Kwanumjon, the bell pavioin, the dormitory and the entrance to the temple were rebuilt by Monk Son-gol in 1982. A pagoda and an image of Maitreya Buddha were also erected at that time.
Of special note are an ancient ginkgo tree(Natural Monument No. 30) and the stupa of National Preceptor Chongji, a revered monk toward the end of the Koryo period, and its stele, which has an inscription written by Kwon kun, a scholar-official during the early Choson period(Treasure No. 531).
신라 선덕왕 2년(913) 대격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일설에는 경순왕(927~935 재위)이 친히 행차하여 창사하였다고 한다.
고려 우왕 4년(1378) 지천대사가 개풍 경천사의 대장경을 옮겨 봉안하였고 조선 태조 4년(1395) 조안화상이 중창하였다. 세종 29년(1447) 수양대군이 모후 소헌왕후 심씨를 위하여 보전을 다시 지었고 세조 3년(14557) 왕명으로 중수하였다. 성종 11년(1480) 처안 스님이 중수한 뒤 고종 30년(1893) 봉성대사가 중창하였으나 순종 원년(1907) 의병의 근거지로 사용되자 일본군들이 불태웠다.
1909년 취운스님이 큰방을 중건한 뒤 1938년 태욱스님이 대웅전, 어실각, 노전, 칠성각, 기념각, 요사 등을 중건하였으며, 1982년 선걸스님이 주지로 취임하여 대웅전, 삼성각, 범종각, 지장전, 관음전, 요사 일주문 등을 새로 중건하고 불사리탑, 미륵불을 조성하였다.
경내에는 권근이 지은 보물 제531호 정지국사 부도 및 비와 천연기념물 제30호 은행나무가 있다.
1907년 후기의병 당시 양평의병의 근거지였던 곳이다. 일제기 광무황제를 강제 퇴위시키고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시키면서 의병의 대일항전은 더욱 격화되었다. 이즈음 양평의병은 용문산의 용문사를 비롯하여 상원사, 다나사를 근거지로 삼아 활동하였다.
권득수 의병장은 의병을 모집하여 용문사에 식량과 무기를 비축해 놓고 항일활동을 펼쳤다. 조인환 의병장은 용문사를 근거리로 삼아 인근 지역의 관아와 파출소, 우편소 등을 슴격하여 일제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양평의병이 활발하게 항일전을 전개하자, 일제는 의병을 탄압하기 위해 군대를 판견하였다. 양평의병은 1907년 8월 24일 일본군 보병 제52연대 제9중대와 용문사에게 격전을 벌였다. 이 때 용문사는 일본군에 의해 소실되었다가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복원되었다.
Yongmun Temple was an important base in 1907 for the Yangpyeong Righteous Army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Righteous Army in the early 20th century.
After imperialist Japan forced the Korean emperor, Gwangmu, to abdicate his throne and dissolved the Korean army, Korean Righteous Army operations against the Japanese became fiercer. At that tumultuous period, the Yangpyeong Righteous Army carried out guerrilla attack on Japanese imperialists using as bases nearby temples such as Youngmun Temle, Sanwon Temple, and Sana Temple at Mt. Yongmun.
One leader of the Righteous Army, Deuksu Gwon, supplemented more recruits and stockpiled food and weapons at Yongmun temple for the army's military operations. Inhwan Jo, another leader, carried out raids on nearby goverment upon the Japanese.
Alarmed by the Yangpyeong Righteous Army's formidable attacks, Japan dispatched an army to suppress them. The yangpyeong Righteous Army engaged in a fierce battle at Yongmun temple on August 24, 1907 against the 9th company 52nd infantry regiment of the Japanese army, The temple was destroyed by the Japanese, but has since been restored through many phases.
'캠핑 & 여행 &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야산 20180825 블야30th (0) | 2018.08.26 |
---|---|
20180815 마니산 28th (0) | 2018.08.19 |
속리산 아가봉 옥녀봉 갈론계곡 20180708 (0) | 2018.07.18 |
레키 마이크로바리오 카본 블랙 20180707 (3) | 2018.07.07 |
인제 방태산 20180629 블랙야크27th (0) | 2018.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