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SMALL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 출제기준(2020.1.1_2023.12.31)_등재용.hwp
0.02MB
2020.01.01 ~ 2023.12.31까지
출제기준(필기)
직무분야 | 기계 | 중직무분야 | 기계장비설비ㆍ설치 | 자격종목 |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 | 적용기간 | 2020.1.1.∼2023.12.31. | |||||
○ 직무내용 : 반도체 장비의 유지보수에 관한 지식을 바탕으로 반도체장비를 운용ㆍ점검하고, 작동이상 부분을 정비하여 최적의 상태로 장비를 유지보수하는 직무이다. | ||||||||||||
필기검정방법 | 객관식 | 문제수 | 60 | 시험시간 | 1시간 |
개 정(안) | ||||
필 기 과목명 |
출 제 문제수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자동화기초, 공유압 일반, 반도체장비 보전일반, 반도체장비 운용개론, 안전관리 |
60 | 1. 자동화기초 | 1. 자동제어의 기초 및 종류 |
1. 자동제어의 개요 2. 제어계의 종류와 특성 3. 자동제어의 용어 |
2. 제어계의 구성 및 특성 | 1. 시퀀스 제어계의 구성 2. 시퀀스 제어방식의 특징 |
|||
3. 센서의 원리와 종류 및 특성 | 1. 센서의 정의와 기능 2. 자동화용 센서의 분류 3. 센서의 신호처리 |
|||
4. PLC의 구성과 특성 | 1. PLC의 개요와 특징 2. PLC의 처리방법 3. PLC에 관한 용어 4. PLC 기종선정 방법 |
|||
5. PLC 프로그래밍 | 1. PLC 프로그래밍 방법 2. 코딩의 개요, 방법 3. 시뮬레이션의 종류와 특성 4. PLC 설치환경과 노이즈 대책 |
|||
6. 공장자동화의 개요 | 1. FA의 정의와 개요 2. 생산 시스템의 구성 기능 |
|||
7.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 및 특성 | 1. 자동화의 형태 2. FMS의 종류 3. FMS의 구성요소 |
|||
8. 산업용 로봇의 종류 및 특성과 용도 | 1. 로봇의 구조 2. 로봇의 제어 3. 로봇 센서 4. 로봇 선정 요점 |
|||
2. 공유압 일반 | 1. 공유압의 원리 및 특성 | 1. 공유압의 개요 2. 공유압의 원리 3. 공유압의 특성 4. 공유압의 기초이론 |
||
2. 유압 발생장치와 부속기기 | 1. 유압펌프의 종류 및 특성 2. 유압시스템의 부속기기 3. 유압유의 종류와 특성 |
|||
3. 공압 발생장치와 부속기기 | 1. 공압 발생장치의 분류 2. 공기 압축기의 선정 방법 3. 공기탱크의 구조와 기능 4. 소음기 등 부속기기 |
|||
4. 공유압 액츄에이터 | 1. 공유압 실린더의 구조와 분류 2. 복합 실린더의 기능 3. 실린더의 출력계산 4. 실린더의 장착형식 5. 공유압 실린더 사용 시 주의사항 |
|||
5. 공유압 제어밸브 | 1. 압력제어 밸브의 기능과 종류 2. 유량제어 밸브의 기능과 종류 3. 방향제어 밸브의 기능과 종류 |
|||
6. 공유압 기본회로 | 1. 방향제어 회로 2. 속도제어 회로 3. 압력조절 회로 4. 무부하 회로 |
|||
3. 반도체장비보전일반 | 1. 포토에칭장비보전 | 1. 포토에칭장비의 작동환경 2. 포토에칭장비의 구조 및 작동 이해 3. 포토에칭장비의 조작 4. 포토에칭장비의 정비 |
||
2. 박막확산장비보전 | 1. 박막확산장비의 작동환경 2. 박막확산장비의 구조 및 작동 이해 3. 박막확산장비의 조작 4. 박막확산장비의 정비 |
|||
3. 조립장비보전 | 1. 조립의 개요 2. 쏘잉/다이본딩 장비의 작동 환경 3. 쏘잉/다이본딩 장비의 구조 및 작동 이해 4. 쏘잉/다이본딩 장비의 조작 5. 쏘잉/다이본딩 장비의 정비 |
|||
4. 반도체장비운용일반 | 1. 포토에칭장비운영 | 1. 포토에칭 공정의 정의 2. 포토에칭 장비의 개요 3. 포토에칭 장비의 구성요소 이해 4. 포토에칭장비의 운영 |
||
2. 박막확산장비운영 | 1. 박막확산공정의 정의 2. 박막확산 장비의 개요 3. 박막확산 장비의 구성요소 이해 4. 박막확산장비의 운영 |
|||
3. 조립장비운영 | 1. 조립공정의 정의 2. 조립 장비의 개요 3. 조립장비의 구성요소 이해 4. 조립장비의 운영 |
|||
5. 안전관리 |
1. 기계/전기안전 | 1. 기계안전의 개요 2. 전기안전의 개요 |
||
2. 반도체 공정 가스 안전 | 1. 가스안전의 개요 2. 주요가스 종류의 이해 3. 주요가스 취급방법 |
|||
출제기준(실기)
직무분야 | 기계 | 중직무분야 | 기계장비설비ㆍ설치 | 자격종목 |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 | 적용 기간 |
2020.1.1.∼2023.12.31. | |||
○ 직무내용 : 반도체 장비의 유지보수에 관한 지식을 바탕으로 반도체장비를 운용ㆍ점검하고, 작동이상 부분을 정비하여 최적의 상태로 장비를 유지보수하는 직무이다. ○ 수행준거 : 1. 반도체장비에 대한 기계도면을 보고 기계요소 등을 이해하여 분해, 조립할 수 있다. 2. 반도체장비에 대한 공․유압 회로도를 이해하고 구성하여 동작할 수 있다. 3. 반도체장비에 대한 배관도를 이해하고 구성하여 시운전을 할 수 있다. 4. 반도체장비에 대한 전기결선도를 이해하고 결선하여 특성에 맞는 프로그래밍을 통해 시운전을 할 수 있다. |
||||||||||
실기검정방법 | 작업형 | 시험시간 | 3시간 30분 정도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반도체 장비유지 보수실무 |
1. 반도체장비 분해 조립 | 1. 반도체장비 분해하기 | 1. 반도체장비 가스챔버에 대한 분해를 할 수 있다. 2. 반도체장비 로봇시스템에 대한 분해를 할 수 있다. 3. 반도체장비 플라즈마시스템에 대한 분해를 할 수 있다. 4. 반도체장비 칠러시스템에 대한 분해를 할 수 있다. 5. 반도체장비 가스챔버, 로봇시스템, 플라즈마시스템, 칠러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분해할 수 있다. |
2. 기구 유닛별 조립하기 | 1. 기구도면을 보고 조립되는 순서를 이해할 수 있다. 2. 부분별 조립 순서를 이해하고 조립할 수 있다. 3. 기구와 연관된 전기, 전자, 제어부품을 기본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4. 조립기구의 기능을 이해하고 원활히 작동할 수 있다. 5. 반도체장비 가스챔버에 대한 조립을 할 수 있다. 6. 반도체장비 로봇시스템에 대한 조립을 할 수 있다. 7. 반도체장비 플라즈마시스템에 대한 조립을 할 수 있다. 8. 반도체장비 칠러시스템에 대한 조립을 할 수 있다. 9. 반도체장비 가스챔버에 대한 기능 확인을 위해 시운전 할 수 있다. 10. 반도체장비 로봇시스템에 대한 기능 확인을 위해 시운전 할 수 있다. 11. 반도체장비 플라즈마시스템에 대한 기능 확인을 위해 시운전 할 수 있다. 12. 반도체장비 칠러시스템에 대한 기능 확인을 위해 시운전 할 수 있다. 13. 반도체장비 가스챔버, 로봇시스템, 플라즈마시스템, 칠러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조립을 할 수 있다. |
||
2. 반도체장비설비구성 | 1. 설비구성 작업하기 |
1. 센서를 결선하고 PLC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2. 전기 신호로 구동되는 로봇시스템을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다. 3. 반도체장비의 가스챔버, 로봇시스템, 플라즈마시스템, 칠러시스템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 |
|
2. 배관 작업하기 | 1. 반도체장비 배관도면을 보고 배관작업을 할 수 있다. 2. 작업한 배관을 반도체 장비에 분해ㆍ체결할 수 있다. |
||
3. 반도체 장비 전장 조립 | 1. 장비 전원부 기본배선 준비하기 | 1. 반도체 장비의 배선도면을 보고 사양에 맞추어 배선준비 작업을 할 수 있다 2. 배선도면을 보고 실제 각 성능과 공급된 전원사양을 고려할 수 있다. 3. 배선도면을 보고 장비의 각 동작부위와 그 순서에 따라 배선을 할 수 있다. |
|
2. 장비 전원부 실제 전장 배선하기 | 1. 전기도면에 근거한 배선 종류별 배선 기이 및 배선 작업을 수립할 수 있다. 2. 전원부품별 배선타임과 배선작업을 고려하여 작업할 수 있다. 3. 전원배치 순서에 근거하여 위험한 상황을 배제한 안전 전원배선 작업을 할 수 있다. 4. 전원용량, 전원 품질을 고려한 배선등급을 결정하고 실제 연결 작업을 할 수 있다. |
||
3. 부가 장착품 전장 배선하기 | 1. 부가 장착되는 중요 제어기, 하드웨어, 별도 유닛의 전원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2. 부가 장착되는 중요 제어기, 하드웨어, 별도 유닛의 전원 특성과 그 분포할 전원 배선을 파악할 수 있다. 3. 가장 효과적이며, 제어가 확실한 부가장착품의 최적화된 배선을 실행할 수 있다. |
LIST
'자격증(국가,민간) >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 실기 & 필기 (0) | 2022.07.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