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한국문학개론
05-01. 고려가요와 시조롤 형식이 이어진 향가 형식은?
-> 검색 결과를 종합한 결과, 고려가요와 시조로 형식이 이어진 향가 형식은 '사뇌가(10구체 향가)'입니다. 사뇌가는 향가 중 가장 완성된 형태로, 이 형식이 후대 고려가요와 시조의 형식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특히 사뇌가의 3단 구성과 음보율은 시조의 3장 구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고려가요의 여러 작품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05-02. 평시조의 형식을 유지하면서 가사의 길이가 늘어난 시조는?
-> 05-02. 평시조의 형식을 유지하면서 가사의 길이가 늘어난 시조는? 사설시조입니다. 사설시조는 평시조의 3장 구조를 유지하면서 각 장의 음보 수나 글자 수가 일정하게 늘어난 형태입니다. 특히 평시조의 틀에서 2구 이상이 길게 늘어나며, 기본 음률을 지키면서 내용이 확장된 발전적 형태의 시조입니다.
05-03. '가시리'는 민요의 어떤 형식이 반복되는 구조인가?
-> 05-03. '가시리'는 민요의 어떤 형식이 반복되는 구조인가? 후렴구 형식입니다. 가시리는 각 연의 끝에 "위 증즐가 대평성대"라는 후렴구가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후렴구는 악기의 소리를 흉내내는 여음구 역할을 하며 노래에 리듬감을 부여합니다.
05-04. 현악기 없이 관악 편성만으로 진행하는 대중적 창법은?
-> 05-04. 현악기 없이 관악 편성만으로 진행하는 대중적 창법은? 시나위입니다. 시나위는 현악기 없이 관악기 중심으로 연주되는 즉흥적 음악 형태로, 무속음악에서 유래했으며 민속음악의 대표적인 관악 중심 창법입니다.
05-05. 형가는 무엇으로 표기했는가?
-> 05-05. 형가는 무엇으로 표기했는가? 향찰입니다. 향찰은 한자의 음(音)과 훈(訓)을 빌려 우리말을 기록한 차자표기법으로, 신라시대 향가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 방식입니다. 고유 문자가 없던 시기에 한자를 활용하여 우리말을 온전히 적을 수 있게 한 독특한 표기 체계입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전공과목 수강중.
"한국문학개론 "과목을 수강중.
질문 :
결과 : 100자 이내로 작성해줘.
04. 외국어습득론(2023)
04-01. 언어 습득에서 압력이 가장 강조되었던 시기는 행동주의 심리학의 시대였다.(O?,X?)
X
04-02. 오류는 학습자의 언어 지식에서 나오는 체계적인 것이다. (O?,X?)
O
04-03. 대조분석은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 언어의 차이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오류를 많이 발생시킨다는 이론이다. (O?,X?)
O
04-04. 언어오류는 외국어 학습의 과도기적 단계이다. (O?,X?)
O
04-05. 언어오류는 부정적이라는 것이 최근 연구의 견해이다. (O?,X?)
X
03.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2024)
03-01. 한국어 어휘 교육의 측면에서 단어와 ( ) 은/는 같은 개념으로 통용할 수없다. ( )은/는 일정한 범위 안에서 사용되는 단어의 집합으로 정의 할 수 있다.
-> 검색 결과를 분석한 결과,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은 "어휘"입니다.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단어와 어휘는 분명히 구분되는 개념입니다. 단어는 개별적인 의미 단위를 가리키는 반면, 어휘는 일정한 범위 안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여러 자료에서 어휘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낱말의 총 집합"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문제에서 제시된 "일정한 범위 안에서 사용되는 단어의 집합"이라는 정의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03-02.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서는 약 ( )개의 기초 어휘를 이해하고 있다면 1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라고 평가한다.
-> 여러 공식 자료에서 일관되게 언급하고 있듯이, TOPIK 1급 합격을 위해서는 약 800개의 기초 어휘를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 수준의 어휘력을 바탕으로 생존에 필요한 기초적인 언어 기능을 수행하고 간단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03-03. 다문화 속에서 한국 문화를 바라보는 관점으로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 이해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사전을 무엇으리고 하는가?
-> 다문화 속에서 한국 문화를 바라보는 관점으로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 이해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사전은 "문화배경사전"입니다. 이 사전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의 배경과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풍습, 관습, 생활양식 등의 문화적 요소를 설명하여 언어와 문화를 함께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03-04. "밤에 손톱을 깎으면 귀신이 나온다."와 같은 금기담은 어휘 교육에서 다뤄야 할 중요한 대상이다. 맞으면, O 틀리면X로 답하시오.
- > 검색 결과를 분석한 결과, "밤에 손톱을 깎으면 귀신이 나온다"와 같은 금기담은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다뤄야 할 중요한 대상이 맞습니다. 금기담은 단순한 어휘가 아닌 한국의 문화적 배경, 관습, 사고방식을 담고 있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입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여러 연구에서 금기담을 포함한 관용 표현들이 한 언어의 특별한 문화적·사회적 관념을 반영하므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03-05. 전신 반응 교수법은 ( ) 단계 학습자들의 어휘 교육에 적응하기 좋은 교수법이다.
-> 검색 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은 "초급"입니다.
전신 반응 교수법(TPR, Total Physical Response)은 여러 자료에서 일관되게 초급 학습자에게 특히 효과적인 교수법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 교수법은 외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적합하며, 학습자가 실제 행동을 통해 언어를 습득하도록 돕습니다. 초급 단계에서는 듣기와 이해에 중점을 두고, 학습자가 부담 없이 언어를 접할 수 있게 해주어 어휘 학습에 효과적입니다.
02. 외국어로서의언어교수이론 (2022)
02-1. 언어 환경을 조정하여 어떤 일을 발생하게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은?
-> 할리데이의 언어 기능 이론에서 "언어 환경을 조정하여 어떤 일을 발생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은 조절기능(regulatory function)입니다. 이는 타인의 행동을 통제하고 조정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지시하거나 원하는 행동을 유도하는 의사소통 방식입니다.
02-02. 경험주의 철학에 영향을 받은 행동주의자들은 인간은 세상이나 언어에 대해 아무러 전제된 개념을 갖지 않은 깨끗한 상태인 ( )라고 보았다.
-> 검색 결과를 분석한 결과, 빈칸에 들어갈 표현은 "타불라 라사(tabula rasa)"입니다.
경험주의 철학에 영향을 받은 행동주의자들은 인간이 태어날 때 언어나 세상에 대해 어떠한 선입관이나 전제된 개념도 가지지 않은 백지상태로 본다는 개념으로, 이는 라틴어로 "깨끗한 석판"을 의미하는 "타불라 라사(tabula rasa)"로 표현됩니다.
02-03. 대조분석가설은 언어의 보편성에 기반을 두고 목표어와 모국어 상이의 공통점을 연구하는 것이다. (O,X)
-> 대조분석가설은 언어의 보편성에 기반을 두고 목표어와 모국어의 공통점을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목표어와 모국어 사이의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언어 학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과 오류를 예측하는 이론입니다.
대조분석가설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국어와 목표어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춤
언어 간 차이가 클수록 학습의 어려움이 증가한다고 봄
대조분석 가설에서는 학습의 장애요인이 되는 간섭(부정적 전이)을 중요하게 다룸
모국어 습관이 목표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
따라서 "언어의 보편성에 기반을 두고 목표어와 모국어 상이의 공통점을 연구하는 것"이라는 진술은 대조분석가설의 본질과 반대되므로 X입니다.
02-04. 피아제의 인지적 구성주의에서 발달 단계설에 따르면 아동이 내적 표상의 조작이 가능하고 보존 개념이 발달하며 가역적인 사고가 가능한 단계는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가?
-> 피아제의 인지적 구성주의 발달 단계설에서 내적 표상의 조작이 가능하고 보존 개념이 발달하며 가역적인 사고가 가능한 단계는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입니다. 이 시기(7-11세)의 아동은 물체의 형태가 변해도 양은 보존된다는 개념을 이해하고, 논리적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02-05. 정보처리이론에 따르면 정보를 나중에 필요할 때 잘 기억해낼수 있는 형태로 기록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정보처리이론에 따르면, 정보를 나중에 필요할 때 잘 기억해낼 수 있는 형태로 기록하는 과정을 "부호화(encoding)"라고 합니다. 이는 감각기억에서 들어온 정보를 유의미하게 변환하여 장기기억에 저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과정으로, 효과적인 학습과 기억의 핵심 단계입니다.
01. 대조언어학
1-1 한국어는 몇 가진의 음절구조가 가능한가?
->
한국어의 음절구조는 기본적으로 4가지 유형이 가능합니다. 자음(C)과 모음(V)의 조합에 따라 모음(V), 자음+모음(CV), 모음+자음(VC), 자음+모음+자음(CVC)의 형태가 있습니다. 그러나 반모음(G)까지 고려하면 음절구조는 8가지로 확장됩니다: 반모음+모음(GV), 자음+반모음+모음(CGV), 반모음+모음+자음(GVC), 자음+반모음+모음+자음(CGVC)이 추가됩니다. 한국어의 음절은 중성(모음)이 필수요소이며, 초성과 종성은 선택적입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한국어는 이론적으로 3,192개의 음절 조합이 가능합니다.
1-2 한국어의 유음/ㄹ/은 변이음이다. '다리'처럼 모음 사이의 /ㄹ/은 영어의 어떤 음가에 해당하는가?
->
한국어 '다리'와 같이 모음 사이에 위치한 /ㄹ/은 치경 탄음(alveolar flap/tap) [ɾ]로 발음됩니다. 이는 미국식 영어에서 'water', 'better', 'ladder'와 같은 단어의 't'나 'd'가 모음 사이에서 약화될 때 나타나는 소리와 동일합니다. 이 소리는 혀끝이 치경(잇몸)을 가볍게 한 번 두드리면서 발음되는 것으로, 한국어의 모음 사이 ㄹ과 영어의 flap/tap [ɾ]는 음성학적으로 같은 소리입니다.
1-3. 한국어의 모음 가운데 단모음 체계로 분류되었지만 이중모음으로의 발음도 허용되는 두 음소는 무엇인가?
->
한국어의 모음 중 단모음 체계로 분류되었지만 이중모음으로도 발음이 허용되는 두 음소는 'ㅚ'와 'ㅟ'입니다. 표준 발음법에 따르면 이 두 모음은 원칙적으로 단모음으로 발음해야 하지만, 현실 발음을 반영하여 이중모음 발음도 인정합니다. 'ㅚ'는 단모음 [ö]가 원칙이나 이중모음 [we]로도, 'ㅟ'는 단모음 [ü]가 원칙이나 이중모음 [wi]로도 발음할 수 있습니다.
1-4. 운소가 발화상에서 의미를 구별하는데 변별적으로 작용할 경우 이를 뭐라고 부르는가?
->
운소가 발화상에서 의미를 구별하는데 변별적으로 작용할 경우, 이를 '운율소(prosodeme)'라고 부릅니다. 음운론에서 운율소는 자음이나 모음과 같은 분절음소에 얹혀서 그 음성은 바꾸지 않고 말의 뜻만을 달라지게 하는 음소를 가리킵니다. 운소가 단어의 의미 분화에 관여하여 변별적 기능을 할 때 운율소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러한 운율소에 의해 구별되는 단어들을 준동음어라고 합니다.
1-5. 외국어 학습에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학습자의 모국어가 학습 대상 언어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일컫는 이것은 무엇인가?
->
외국어 학습에서 학습자의 모국어가 목표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전이(transfer)'라고 합니다. 이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모국어(L1)가 학습 대상 언어(L2) 습득 과정에 주는 모든 영향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전이는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로 구분되며, 부정적 전이는 '간섭(interference)'이라고도 불립니다. 대조언어학에서는 이러한 전이 현상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외국어 교육 방법을 개발하는 데 활용합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전공과목 수강중.
대조언어학과목을 수강중.
질문 :
결과 : 150자 내외로 작성해줘.
'자격증(국가,민간)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한국어교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공부 speak (0) | 2025.04.09 |
---|---|
학점은행제 타전공 학점인정 신청 (20250402기준) (1) | 2025.04.02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2025 2학기 토론 (3) | 2025.03.30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202503 2학기 생각해보기 (1) | 2025.03.04 |
20250116 1학기 기말고사(외국어로서의한국어) (0) | 2025.01.16 |